공지사항


INFORMATION 고객에게 믿음을 주는
Security Intelligence Leading Company

[신SW상품대상 9·10월 수상작]앤앤에스피 '앤넷다이오드(nNetDiode) v2.0'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2017-11-14 10:00:51manager

[신SW상품대상 9·10월 수상작]
앤앤에스피 '앤넷다이오드(nNetDiode) v2.0'


앤앤에스피(대표 김일용) '앤넷다이오드(nNetDiode) v2.0'이 신SW상품대상 9·10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SW) 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앤앤에스피(대표 김일용) '앤넷다이오드(nNetDiode)' 실행화면
<앤앤에스피(대표 김일용) '앤넷다이오드(nNetDiode)' 실행화면>

앤넷다이오드는 에너지·수자원·교통·환경 등 사회기반시설과 스마트공장·플랜트 등 산업기반시설 관리시스템 운영정보를 수집한다. 원격 통합운영센터·통합관제센터·본사 등으로 운영정보를 단방향으로 전달한다. 기반시설을 안전한 폐쇄망으로 유지하고 외부 해킹 공격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기반시설에 있는 운영기술(OT·Operation Technology) 환경 스카다(SCADA), DCS, HMI, 전력선통신(PLC) 등 다양한 관리·제어시스템과 연계해 운영정보를 수집한다. 'OT-IT 융합 정보연계 시큐리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는 원격에 있는 정보기술(IT) 환경 PI 시스템, 통합보안관리시스템(ESM), 생산관리시스템(MES), 클라우드 등 원격 관리·분석시스템과 연계해 기반시설 운영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한다.

기반시설에서 원격으로 단방향 회선만 유지한다. 외부망에서 기반시설로 회선은 물리적으로 절제한다. 외부 사이버 공격이나 악성코드 유입을 차단하는 물리적 단방향 송·수신 전용보드를 탑재했다.

국내 등록특허, 국제 특허 기술을 적용했다. 단방향 전송에 대한 물리적 오류·장애 감지를 통한 단방향 재전송 신뢰성을 제공한다. 오류·장애 발생 시 단방향 전송 데이터 신뢰를 보장하지 못하는 기존 단방향 전송장비 문제점을 해결했다.

인가된 시스템 접근통제, 단방향 전송 보안 감사, 단방향 전송장비 보안관리·자체 보호 기능, 관리자 식별·인증 기능도 제공한다.

일방향 전송기능 SW로 굿소프트웨어(GS) 인증 1등급, 국내용 CC 인증을 획득했다. 물리적 단방향 송·수신보드에 대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검증과 장비 하드웨어(HW) 전파인증을 받았다. 국가정보보안기본지침, 국가〃공공기관 제어시스템 보안가이드라인 등 정부 일방향 보안정책·보안적합성 검증 기준을 만족한다.

▶사용기종/운용체계(OS): 임베디드 윈도

▶기반시설 운영정보 단방향 연계, 외부 해킹 차단을 위한 융합제어보안 솔루션

▶문의: (02)576-4736

김일용 앤앤에스피 대표

[신SW상품대상 9·10월 수상작]앤앤에스피 '앤넷다이오드(nNetDiode) v2.0'

-제품 개발 배경은.

▲일방향 전송장비는 수입 의존도가 높다. 고가 장비로 일부 기관에서만 외산 장비를 도입해 사용한다. 대부분 기관은 케이블을 일방향으로 조립해 사용하거나 정부 정책과 달리 양방향 통신 환경을 그대로 운영한다.

앤넷다이오드는 HW 기반 일방향 전송장비로 개발됐다. 중소기업청 '2014년 민관공동투자기술개발사업' 과제를 통해 개발됐다. 발전소 등 대규모 기반시설에 2015년 적용됐다. 미래창조과학부 '2016년 융합보안 기술개발 및 시범적용사업'으로 중소규모 기반시설에 적용하기 위한 보급형 장비를 정수장 등에 적용했다.

-국내외 주요 경쟁제품과 차별성은.

▲대부분 일방향 전송장비는 일방향 특성 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응답(Ack)을 받을 수 없어 전송 데이터 오류가 발생한다. 수신장치 장애 시 송신장치에서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데이터를 계속 보내 데이터 손실이 일어난다. 외산 제품은 오류 발생 시 오류복구코드를 사용해 복구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하지만 오류복구코드 성능에 따른 한계가 있다.

앤넷다이오드 이런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회선 절체·단선 인식 방식으로 응답 피드백이 없는 일방향 재전송 기술을 확보했다. 외산 일방향 전송제품과 비교해 제어프로토콜과 연계한 일방향 데이터 수집·전송 측면에서 동등한 기능·성능을 제공한다. 제어시스템에서 중요한 데이터 신뢰성 측면에서 특허 기술을 적용,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

-수출 계획과 올해 제품 매출 목표는.

▲앤넷다이오드에 대한 GS, CC, KC 인증을 획득했다.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소, 위례에너지서비스 열병합발전소, 인천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SH공사 열병합발전소 등에 에너지 관련 분야에 제품을 공급했다. 한국수자원공사, 서울·부산·인천시 상수도본부, 남양주시 등에서 관련 사업을 수주했다. 올해 매출 목표 3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동·아시아·아프리카·남미 등에 해외 시장에서 수출 협의를 진행한다.

-향후 신제품 개발·출시 계획은.

▲올해 하반기 금융·국방·중요 업무망에서 앤넷다이오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정보통신기술(ICT) 보안영역으로 제품을 다양화한다. 내년 스마트공장 연계를 위한 산업용 통합보안장치를 개발한다. 산업용 포트 이중화 장치 앤넷앤피알(nNetNPR) 제품을 개발도 강화해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스마트공장 보안기술을 확보한다.

출처 : [전자신문 CIOBIZ]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http://www.ciobiz.co.kr/news/article.html?id=20171023120006

이전 글
앤넷다이오드 제품광고
다음 글
앤넷다이오드 제품광고_5단광고